본문 바로가기

3. 공부방/돈 공부4

블로그 재개 작년 초 블로그 운영을 시작했는데, 주기적으로 구글 애드센스에서 무효 트래픽 문제가 발생했었다. 그동안은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해결되겠지 하고 기다렸는데 몇 번 반복되다 보니 이러면 안될 것 같다. 이제 구글 애널리스틱을 이용해서 악의적으로 광고를 클릭하는 사람이 있는지 ip 추적을 해볼 계획이다. 그리고 다시 블로그 글을 성실하게 써나가야겠다. 2021. 5. 26.
주식 ROE, PBR, PER, EV, EBITDA 주식을 사기로 한 이후부터 삼성전자 같은 큰 회사다 하면 아무생각 없이 그냥 주식을 사 모았는데... 갑자기 궁금증이 생긴 것이 그렇다면 주식의 적정가는 어떻게 평가하지? 이 회사가 좋은 회사인지 아닌지는 어떻게 알 수 있지? 이런 것들이 궁금해졌다.그래서 찾아보니 ROE, PBR, PER, EV, EBITDA 이런 지표들을 알아두면 된다고 해서 공부하는 셈치고 대략적인 정의를 여기에 작성해 공유해 보려고 한다.ROE: (주)나믿고란 회사를 100억으로 만들어 이익이 10억이 나면 ROE는 10%PBR: (주)나믿고란 회사를 100억으로 만들었는데 시가총액이 300억이면 PBR은 3 즉, 시가총액이 기업을 만들었을 때의 금액의 몇배인가?PER: (주)나믿고가 시가총액이 300억인에 이익이 10억이면 PE.. 2020. 11. 8.
삼성전자 보통주 우선주 차이 삼성전자 보통주 우선주 차이 삼성전자 주식에 대해서 공부하다 보면 우선주와 보통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자. 간단히 얘기하자면 보통주는 의결권이 있고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다. 보통주를 많이 가지고 있다고 하면 주주총회에서 회사 경영의 방향성 결정에 있어 의견을 강하게 피력할 수 있다. 반면 우선주는 많이 가지고 있다고 해도 의견을 피력할 수 없고 배당에 대해서만 우선 순위를 받을 수 있다. 일반적으로 우선주는 보통주 가격의 60%~80% 가격으로 형성된다고 알려져 있는데 모든 기업이 다 이런것은 아니고 우선주가 더 비싼 기업도 간혹 있다. 그렇다면 삼성전자 우선주가 보통주보다 좋은 점은 무엇일까? 일단 더 낮은 가격으로 더 많은 배당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수익률이 더 .. 2020. 8. 11.
(주식)삼성전자 우선주 2020년부터 삼성전자 우선주 주식을 모으기 시작했다. 은행이자 1%~2%시대에 은행에 월급을 적금해 놓는건 아닌 것 같아서 이런 저런 고민 끝에 주식을 사기 시작했고 그 결과는 현재까지는 대만족이다. 적금만 20년 했는데.....내가 지금까지 왜 그랬었을까 싶다 ㅋㅋ 주식을 모으려고 이것저것 공부하던 중 삼성전자가 눈에 들어왔고 삼성전자 보통주와 삼성전자 우선주가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.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점은 추후에 알려드리기로 하고 나는 우선주를 사서 모으기로 했다.(우선주가 배당금을 더 많이 준다. 가격도 더 싸고) 우선주를 사면 배당금이 1년에 4번(분기 배당)을 줘서 시세차익 + 배당금으로 2가지 수익효과를 볼 수 있다. 5월달에 1분기 배당금을 받아보니 공짜로 돈이 생기는 것 같은 느낌이.. 2020. 8. 9.